구로다 나가마사의 ‘임진왜란(1592 – 1598)’ 주요 전과 · 경로
Page Info
Writer AndyKim
Hit 30 Hits
Date 25-07-07 20:07
Content
## 구로다 나가마사의 ‘임진왜란(1592 – 1598)’ 주요 전과 · 경로
| 시기 | 작전·전투 | 구로다 부대의 규모·행동 | 결과·의의 |
| 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 |
| **1차 침공 (1592 – 93)** | ◇ **상륙 — 김해성 함락**<br> • 1592. 5. 28, 제3군 5 천 명 (父 구로다 간베에 포함) 상륙 → 총포 사격으로 김해성 압박, 볏짚·곡식 다발로 사다리를 즉석 제작해 돌파 | 낙동강 서안 교두보 확보, 6 일 만에 운산·창녕·현풍·성주 연속 점령 ([military-history.fandom.com][1]) | |
| | ◇ **서울(한성) 입성**<br> • 6 월 12 일 제1·2군 후속으로 입성, 9개 사단 집결 | 수도 – 경기 수탈·치안 담당 | |
| | ◇ **임진강 전투·평양 점령**<br> • 강변 야간 기습 방어 후 보트 대신 얕은 여울 찾아 도하<br> • 7 월 20 일 제1군과 합류해 평양 무혈 입성, 군량 10만 석 노획 | 北進로를 열었으나, 명(明) 참전 직전이라 더 북상 못함 ([military-history.fandom.com][1]) | |
| **2차 침공 (정유재란, 1597 – 98)** | ◇ **직산 전투** (1597.10.16)<br> • 병력 5 천으로 진격, 주둔한 명군 6 천과 충돌 → 日 30 000 증원 vs 명 6 000 유지<br> • 야간 ‘학익진(⊂)' 역(逆) pincer 시도 → 명 기병 반격으로 실패 | 명군의 한성 재탈환 저지엔 성공 못했으나 2차 침공 *최북단 진출* ([en.wikipedia.org][2], [en.wikipedia.org][3]) | |
| | ◇ **울산 성 구원 · 수성** (1598.1–2)<br> • 가토 기요마사 요청에 따라 6 백 \~ 1 천 증원군 지휘, 해자 복구·보급선 열어줌 | 조·명 5 만 대군의 포위전 극복, 日 주력 철수 시간을 벌어줌 ([en.wikipedia.org][4]) | |
### 전술 · 공로
1. **빠른 공성 공법** – 김해·성주 등 소·중(中) 성곽을 *총포 억제 사격 + 즉석 경사로* 조합으로 단기간 돌파.
2. **합동 운용 · 정보전** – 평양 도하 직전, 탈주 조선군의 동선·수심을 조사해 ‘얕은 여울’로 대부대를 이동.
3. **기민한 기동력** – 직산에서 선봉 → 야간 역포위전까지 하루에 두 번 전장 변화에 대응.
4. **수성 노하우** – 울산에서 포위망 일부를 *갈라치기 전투*로 흔들어 성 내 사기와 식량을 유지.
### 한계 · 논란
| 전과 뒤편 | 설명 |
| 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도륙·코베기(수급) 관여** | 제3군 관할지 전라도·충청 일대에서 ‘나데기리(삭쓸이)’ 작전 보고 → 민간인 참상 기록 남아 ([en.wikipedia.org][5]) |
| **대규모 해전·수운 차단에는 기여 미미** | 육군 지휘관이어서 이순신·류성룡이 이끈 해상 보급 차단을 돌파하지 못함 |
| **日 내부 공적 평가 갈등** | 이시다 미츠나리가 전과를 축소 보고했다고 판단, 1598년 ‘칠장무승(七将)’ 반(反)미츠나리 모의에 가담 |
### 종합 평가
* **전격 침공 초기 ‘남·북 진격’의 속도를 올린 실무형 장수**: 소규모 선봉·기동전 능력은 높이 평가.
* **2차 침공에선 북진 한계를 드러냈지만, 울산 성을 지켜 *일본군 철수의 시간을 벌어준* 점이 후일 도쿠가와 정권에서도 치하받았다.**
* 동시에 **전쟁 잔혹 행위 책임**과 ‘압도적 물량·해상 차단 앞에서의 전략 부재’라는 음영도 함께 남는다.
> **한 줄 요약**
> 구로다 나가마사는 임진왜란에서 “앞에서는 기민한 정공, 뒤에서는 냉혹한 수성”으로 이름을 올렸으며, 특히 *1592년 김해 \~ 평양 돌파*와 *1598년 울산 수성*이 그의 대표적 전과로 꼽힌다.
[1]: https://military-history.fandom.com/wiki/Japanese_invasions_of_Korea_%281592%E2%80%931598%29 "Japanese invasions of Korea (1592–1598) | Military Wiki | Fandom"
[2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Battle_of_Jiksan?utm_source=chatgpt.com "Battle of Jiksan - Wikipedia"
[3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Kuroda_Nagamasa?utm_source=chatgpt.com "Kuroda Nagamasa - Wikipedia"
[4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Siege_of_Ulsan "Siege of Ulsan - Wikipedia"
[5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Kuroda_Nagamasa "Kuroda Nagamasa - Wikipedia"
| 시기 | 작전·전투 | 구로다 부대의 규모·행동 | 결과·의의 |
| 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 |
| **1차 침공 (1592 – 93)** | ◇ **상륙 — 김해성 함락**<br> • 1592. 5. 28, 제3군 5 천 명 (父 구로다 간베에 포함) 상륙 → 총포 사격으로 김해성 압박, 볏짚·곡식 다발로 사다리를 즉석 제작해 돌파 | 낙동강 서안 교두보 확보, 6 일 만에 운산·창녕·현풍·성주 연속 점령 ([military-history.fandom.com][1]) | |
| | ◇ **서울(한성) 입성**<br> • 6 월 12 일 제1·2군 후속으로 입성, 9개 사단 집결 | 수도 – 경기 수탈·치안 담당 | |
| | ◇ **임진강 전투·평양 점령**<br> • 강변 야간 기습 방어 후 보트 대신 얕은 여울 찾아 도하<br> • 7 월 20 일 제1군과 합류해 평양 무혈 입성, 군량 10만 석 노획 | 北進로를 열었으나, 명(明) 참전 직전이라 더 북상 못함 ([military-history.fandom.com][1]) | |
| **2차 침공 (정유재란, 1597 – 98)** | ◇ **직산 전투** (1597.10.16)<br> • 병력 5 천으로 진격, 주둔한 명군 6 천과 충돌 → 日 30 000 증원 vs 명 6 000 유지<br> • 야간 ‘학익진(⊂)' 역(逆) pincer 시도 → 명 기병 반격으로 실패 | 명군의 한성 재탈환 저지엔 성공 못했으나 2차 침공 *최북단 진출* ([en.wikipedia.org][2], [en.wikipedia.org][3]) | |
| | ◇ **울산 성 구원 · 수성** (1598.1–2)<br> • 가토 기요마사 요청에 따라 6 백 \~ 1 천 증원군 지휘, 해자 복구·보급선 열어줌 | 조·명 5 만 대군의 포위전 극복, 日 주력 철수 시간을 벌어줌 ([en.wikipedia.org][4]) | |
### 전술 · 공로
1. **빠른 공성 공법** – 김해·성주 등 소·중(中) 성곽을 *총포 억제 사격 + 즉석 경사로* 조합으로 단기간 돌파.
2. **합동 운용 · 정보전** – 평양 도하 직전, 탈주 조선군의 동선·수심을 조사해 ‘얕은 여울’로 대부대를 이동.
3. **기민한 기동력** – 직산에서 선봉 → 야간 역포위전까지 하루에 두 번 전장 변화에 대응.
4. **수성 노하우** – 울산에서 포위망 일부를 *갈라치기 전투*로 흔들어 성 내 사기와 식량을 유지.
### 한계 · 논란
| 전과 뒤편 | 설명 |
| 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도륙·코베기(수급) 관여** | 제3군 관할지 전라도·충청 일대에서 ‘나데기리(삭쓸이)’ 작전 보고 → 민간인 참상 기록 남아 ([en.wikipedia.org][5]) |
| **대규모 해전·수운 차단에는 기여 미미** | 육군 지휘관이어서 이순신·류성룡이 이끈 해상 보급 차단을 돌파하지 못함 |
| **日 내부 공적 평가 갈등** | 이시다 미츠나리가 전과를 축소 보고했다고 판단, 1598년 ‘칠장무승(七将)’ 반(反)미츠나리 모의에 가담 |
### 종합 평가
* **전격 침공 초기 ‘남·북 진격’의 속도를 올린 실무형 장수**: 소규모 선봉·기동전 능력은 높이 평가.
* **2차 침공에선 북진 한계를 드러냈지만, 울산 성을 지켜 *일본군 철수의 시간을 벌어준* 점이 후일 도쿠가와 정권에서도 치하받았다.**
* 동시에 **전쟁 잔혹 행위 책임**과 ‘압도적 물량·해상 차단 앞에서의 전략 부재’라는 음영도 함께 남는다.
> **한 줄 요약**
> 구로다 나가마사는 임진왜란에서 “앞에서는 기민한 정공, 뒤에서는 냉혹한 수성”으로 이름을 올렸으며, 특히 *1592년 김해 \~ 평양 돌파*와 *1598년 울산 수성*이 그의 대표적 전과로 꼽힌다.
[1]: https://military-history.fandom.com/wiki/Japanese_invasions_of_Korea_%281592%E2%80%931598%29 "Japanese invasions of Korea (1592–1598) | Military Wiki | Fandom"
[2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Battle_of_Jiksan?utm_source=chatgpt.com "Battle of Jiksan - Wikipedia"
[3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Kuroda_Nagamasa?utm_source=chatgpt.com "Kuroda Nagamasa - Wikipedia"
[4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Siege_of_Ulsan "Siege of Ulsan - Wikipedia"
[5]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Kuroda_Nagamasa "Kuroda Nagamasa - Wikipedia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