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ech 중국의 다층(多層) 미사일 방어 체계 ― 2025 년 7 월 기준 상세 해설
Page Info
Writer AndyKim
Hit 361 Hits
Date 25-07-01 14:58
Content
## 중국의 다층(多層) 미사일 방어 체계 ― 2025 년 7 월 기준 상세 해설
### 1. 개념 구조 : “조기경보 → 중간단계 → 종말 + 점방어”
| 단계 | 주전력 | 주요 임무 |
| 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조기 경보·탐지** | ① **TJS (훠옌-1) GEO 적외선 위성** 최소 3기 + 2023\~25년 TJS-11·12·13 신규 투입 ② 산둥·린안·코를라 등 **대형 위상배열 레이더(LPAR)** | 발사 10\~30 초 이내 탄도체/위협을 포착·추적 ([en.wikipedia.org][1], [atlanticcouncil.org][2], [defensenews.com][3]) |
| **중간단계(우주·외기권) 요격** | **SC-19/DN-3** 계열 실험체 · **HQ-19**(운용 시작) · **HQ-29**(2025년 등장) · **HQ-26**(해군용, Type-055 배치 예정) | ICBM \~ IRBM, ASAT 타격 ([en.wikipedia.org][4], [sustainability-times.com][5], [atlanticcouncil.org][2]) |
| **종말·상층/지역 방어** | **HQ-9B/C**, **HQ-22**, S-300/400 수입형 | 30–50 km 고도 TBM·순항미사일·항공기 요격 ([en.wikipedia.org][6]) |
| **저고도·점방어** | **SkyShield** (레이더+레이저) · **Silent Hunter** 30 kW 레이저 | 드론·탄도탄 파편·초저고도 순항미사일 무력화 ([defence-blog.com][7], [euromaidanpress.com][8]) |
---
### 2. 조기 경보 · 센서망
* **우주 IR 위성**
* ‘훠옌-1’(火眼-1)로 추정되는 **TJS 시리즈**가 미사일 발사 섬광을 감시. 미 국방부는 “2022년 기준 최소 3기”를 확인했고, 2024~~25년 TJS-11~~13이 추가되며 전지구 동시 감시 시간을 확대했습니다. ([en.wikipedia.org][1], [atlanticcouncil.org][2])
* **지상 장거리 레이더**
* 산둥 이위안(일본·한반도 방면), 저장 린안(대만·남중국해), 신장 코를라(인도 방면) 등 LPAR 네트워크가 5,000 km급 초기 탐지 거리를 형성합니다. 신규 산둥 레이더는 2022년 말 완공되어 일본 전역을 커버합니다. ([defensenews.com][3])
* **러시아-중국 공조** : 2019년 체결한 ‘전략 조기경보 협력’으로 러시아가 위성·소프트웨어 일부를 지원, 북극 방면 공백을 보완 중입니다. ([atlanticcouncil.org][2])
---
### 3. 중간단계 요격 체계
| 체계 | 상태 | 특징·최근 동향 |
| 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HQ-19** | 소규모 실전배치 (공군) | MRBM 요격 & ASAT. 2024 주하이 에어쇼 첫 실물 전시, 2025 년 파키스탄이 도입 협상 중. ([en.wikipedia.org][4]) |
| **HQ-29** | 시험·초도배치 추정 | 2025 년 6월 유출 영상으로 존재 확인, 미드코스 + ASAT 겸용 ‘GBI-급’ 요격기로 분석. ([sustainability-times.com][5]) |
| **SC-19 / DN-3** | 시험 전력 | 2007 ASAT, 2015·2021 DN-3 상향 시험 후 연구 지속. ([atlanticcouncil.org][2]) |
| **HQ-26 (HHQ-26)** | 개발 중 | Type-055 함 VLS에서 발사, IRBM 요격 목표. 2027± 양산 전망. ([atlanticcouncil.org][2]) |
> **시험 기록** : 2010년 이후 최소 9차례 육상 중간단계 요격 시험을 실시했으며, 최근 건(“6월 추가 시험”)이 2025년 국방부 브리핑에서 확인됐습니다. ([oe.tradoc.army.mil][9])
---
### 4. 종말단계·지역 방어
* **HQ-9B/C** : 최대 300 km 사거리, 50 km 고도에서 SRBM/TBM 대응. 남중국해 우디섬·대만해협·동부전구에 집중 배치. ([en.wikipedia.org][6])
* **HQ-22** 및 **S-300/400** : 중·장거리 SAM이 잔류 탄도탄 요격과 항공 우세 방어를 겸임.
* **분산형 지휘통제(IADS)** : 伪사이트 네트워크, 광섬유 + 전술 데이터링크로 작전구역-간 자원 재할당 가능.
---
### 5. 레이어드 점방어 – 레이저 & UAV 대응
* **SkyShield (CETC)** : 모듈형 레이더·EO/IR 추적 + 10 \~ 30 kW 레이저 통합, 사우디·UAE 등 20개국 수출 주장. 2025 년 전시회서 21대 드론 100% 요격 사례 공개. ([defence-blog.com][7])
* **Silent Hunter** : 30 kW 이동식 레이저. 2024 가을부터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전 드론 요격에 운용한 영상이 확인됨. ([euromaidanpress.com][8])
---
### 6. 한계와 과제
1. **전지구 IR 위성 수량 부족** – SBIRS 규모에 비해 아직 1/5 수준. 극지·대서양 방면 ‘데드존’이 남아있습니다. ([atlanticcouncil.org][2])
2. **탄두-엄체 구분(Discrimination)** – 다탄두(MIRV)·데코이 식별 알고리즘이 미검증 단계.
3. **요격기 보급률** – 중간단계 ABM (TEL 단위) 실 배치 수가 수십 기로 추정돼 대량 공격 시 포화 우려.
4. **국제 파장** – HQ-19 수출(파키스탄)·레이저 체계 확산이 역내 MD 경쟁을 촉발할 가능성. ([en.wikipedia.org][4], [defence-blog.com][7])
---
### 7. 종합
중국은 **우주 IR 위성 + 대형 LPAR**로 ‘조기경보-추적’ 체계를, **HQ-19/26/29**로 ‘우주·상층 요격’ 능력을, **HQ-9 패밀리**로 ‘종말·지역 방어’를 갖춘 **다층 IAMD(Integrated Air & Missile Defence) 생태계**를 꾸려 왔습니다. 2025 년 현재 기술·배치 면에서 미·러보다는 한 단계 뒤처지지만, **① 요격체 다변화 ② 레이저 점방어 ③ 해군 BMD**를 통해 **2030 년경 “전면(全方位) 중국판 ABM”** 완성을 노리고 있습니다.
더 구체적인 부분(예: HQ-26 세부 스펙, LPAR 사이트 좌표, 소프트웨어 생태계 등)이 궁금하시다면 알려 주세요!
### 1. 개념 구조 : “조기경보 → 중간단계 → 종말 + 점방어”
| 단계 | 주전력 | 주요 임무 |
| 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조기 경보·탐지** | ① **TJS (훠옌-1) GEO 적외선 위성** 최소 3기 + 2023\~25년 TJS-11·12·13 신규 투입 ② 산둥·린안·코를라 등 **대형 위상배열 레이더(LPAR)** | 발사 10\~30 초 이내 탄도체/위협을 포착·추적 ([en.wikipedia.org][1], [atlanticcouncil.org][2], [defensenews.com][3]) |
| **중간단계(우주·외기권) 요격** | **SC-19/DN-3** 계열 실험체 · **HQ-19**(운용 시작) · **HQ-29**(2025년 등장) · **HQ-26**(해군용, Type-055 배치 예정) | ICBM \~ IRBM, ASAT 타격 ([en.wikipedia.org][4], [sustainability-times.com][5], [atlanticcouncil.org][2]) |
| **종말·상층/지역 방어** | **HQ-9B/C**, **HQ-22**, S-300/400 수입형 | 30–50 km 고도 TBM·순항미사일·항공기 요격 ([en.wikipedia.org][6]) |
| **저고도·점방어** | **SkyShield** (레이더+레이저) · **Silent Hunter** 30 kW 레이저 | 드론·탄도탄 파편·초저고도 순항미사일 무력화 ([defence-blog.com][7], [euromaidanpress.com][8]) |
---
### 2. 조기 경보 · 센서망
* **우주 IR 위성**
* ‘훠옌-1’(火眼-1)로 추정되는 **TJS 시리즈**가 미사일 발사 섬광을 감시. 미 국방부는 “2022년 기준 최소 3기”를 확인했고, 2024~~25년 TJS-11~~13이 추가되며 전지구 동시 감시 시간을 확대했습니다. ([en.wikipedia.org][1], [atlanticcouncil.org][2])
* **지상 장거리 레이더**
* 산둥 이위안(일본·한반도 방면), 저장 린안(대만·남중국해), 신장 코를라(인도 방면) 등 LPAR 네트워크가 5,000 km급 초기 탐지 거리를 형성합니다. 신규 산둥 레이더는 2022년 말 완공되어 일본 전역을 커버합니다. ([defensenews.com][3])
* **러시아-중국 공조** : 2019년 체결한 ‘전략 조기경보 협력’으로 러시아가 위성·소프트웨어 일부를 지원, 북극 방면 공백을 보완 중입니다. ([atlanticcouncil.org][2])
---
### 3. 중간단계 요격 체계
| 체계 | 상태 | 특징·최근 동향 |
| 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HQ-19** | 소규모 실전배치 (공군) | MRBM 요격 & ASAT. 2024 주하이 에어쇼 첫 실물 전시, 2025 년 파키스탄이 도입 협상 중. ([en.wikipedia.org][4]) |
| **HQ-29** | 시험·초도배치 추정 | 2025 년 6월 유출 영상으로 존재 확인, 미드코스 + ASAT 겸용 ‘GBI-급’ 요격기로 분석. ([sustainability-times.com][5]) |
| **SC-19 / DN-3** | 시험 전력 | 2007 ASAT, 2015·2021 DN-3 상향 시험 후 연구 지속. ([atlanticcouncil.org][2]) |
| **HQ-26 (HHQ-26)** | 개발 중 | Type-055 함 VLS에서 발사, IRBM 요격 목표. 2027± 양산 전망. ([atlanticcouncil.org][2]) |
> **시험 기록** : 2010년 이후 최소 9차례 육상 중간단계 요격 시험을 실시했으며, 최근 건(“6월 추가 시험”)이 2025년 국방부 브리핑에서 확인됐습니다. ([oe.tradoc.army.mil][9])
---
### 4. 종말단계·지역 방어
* **HQ-9B/C** : 최대 300 km 사거리, 50 km 고도에서 SRBM/TBM 대응. 남중국해 우디섬·대만해협·동부전구에 집중 배치. ([en.wikipedia.org][6])
* **HQ-22** 및 **S-300/400** : 중·장거리 SAM이 잔류 탄도탄 요격과 항공 우세 방어를 겸임.
* **분산형 지휘통제(IADS)** : 伪사이트 네트워크, 광섬유 + 전술 데이터링크로 작전구역-간 자원 재할당 가능.
---
### 5. 레이어드 점방어 – 레이저 & UAV 대응
* **SkyShield (CETC)** : 모듈형 레이더·EO/IR 추적 + 10 \~ 30 kW 레이저 통합, 사우디·UAE 등 20개국 수출 주장. 2025 년 전시회서 21대 드론 100% 요격 사례 공개. ([defence-blog.com][7])
* **Silent Hunter** : 30 kW 이동식 레이저. 2024 가을부터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전 드론 요격에 운용한 영상이 확인됨. ([euromaidanpress.com][8])
---
### 6. 한계와 과제
1. **전지구 IR 위성 수량 부족** – SBIRS 규모에 비해 아직 1/5 수준. 극지·대서양 방면 ‘데드존’이 남아있습니다. ([atlanticcouncil.org][2])
2. **탄두-엄체 구분(Discrimination)** – 다탄두(MIRV)·데코이 식별 알고리즘이 미검증 단계.
3. **요격기 보급률** – 중간단계 ABM (TEL 단위) 실 배치 수가 수십 기로 추정돼 대량 공격 시 포화 우려.
4. **국제 파장** – HQ-19 수출(파키스탄)·레이저 체계 확산이 역내 MD 경쟁을 촉발할 가능성. ([en.wikipedia.org][4], [defence-blog.com][7])
---
### 7. 종합
중국은 **우주 IR 위성 + 대형 LPAR**로 ‘조기경보-추적’ 체계를, **HQ-19/26/29**로 ‘우주·상층 요격’ 능력을, **HQ-9 패밀리**로 ‘종말·지역 방어’를 갖춘 **다층 IAMD(Integrated Air & Missile Defence) 생태계**를 꾸려 왔습니다. 2025 년 현재 기술·배치 면에서 미·러보다는 한 단계 뒤처지지만, **① 요격체 다변화 ② 레이저 점방어 ③ 해군 BMD**를 통해 **2030 년경 “전면(全方位) 중국판 ABM”** 완성을 노리고 있습니다.
더 구체적인 부분(예: HQ-26 세부 스펙, LPAR 사이트 좌표, 소프트웨어 생태계 등)이 궁금하시다면 알려 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