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시대 지례
Page Info
Writer AndyKim
Hit 20 Hits
Date 25-07-07 21:14
Content
### 조선시대 ‘지례현(知禮縣)’ 한눈에 보기
| 항목 | 핵심 정보 |
| 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위치·등급** | 지금의 경북 김천시 지례면 일대. 조선에서 *종6품 현감*이 다스리는 **소(小)현** ([dh.aks.ac.kr][1]) |
| **행정 변천** | ① 신라 지품천현 → 757 년 ‘지례현’으로 개칭<br>② 고려 현종 9 년(1018) 경산부 속현<br>③ 공양왕 2 년(1390) 감무 설치<br>④ 태종 13 년(1413) 현감 승격 → 1895 년 ‘지례군’, 1914 년 김천군에 편입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2], [encykorea.aks.ac.kr][3]) |
| **인구·병역(세종실록 지리지, 15 세기)** | 230호 · 1,200명 / 시위군 30, 진군 20, 선군 80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2]) |
| **교통·군사 거점** | 구산봉수(龜山烽燧)·작내역(作乃驛) 설치—성주·금산·무주·상주를 잇는 T자형 내륙로 요충 ([encykorea.aks.ac.kr][3]) |
| **교육·문화** | *지례향교* 창건 1426 년 → 임진왜란 소실 후 1690 년 중창, 현 경북 문화재자료 제118호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4], [heritage.go.kr][5]) |
| **별호·읍성** | ‘구성(龜城)’이라 불리며, 읍치 주변에 귀산성(龜山城)·지례읍성 흔적 남음 ([db.history.go.kr][6]) |
---
## 1. 행정·조직
* **현감**(종6품) 1인과 서리·군관·좌수 · 별감 등 하부 조달 조직이 편성되어 있었다.
18세기 『여지도서』에는 *군관 30·인리 23·사령 16* 등 상세 인원까지 기록된다. ([dh.aks.ac.kr][1])
* 경제 규모가 작아 *감무(監務) → 현감* 단계로만 승격했으며, 그 이상 **군(郡)** 으로는 조선 시기 내내 오르지 못했다.
## 2. 지리·교통
* 소백산맥 동사면의 산간 분지로, **감천** 유역 비옥한 충적지와 삼남로·무주길·상주길이 교차하여 군사 · 상업상이 모두 중요했다.
* “서울에서 **624리**”라 명시된 기록처럼, 조운로(漕運路) 대신 *내륙 우마차 교통*과 *봉수·역원 체계*가 활발했다.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2])
## 3. 경제·생업
| 분야 | 주요 품목·특징 |
| 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농업** | 감천 평야의 벼·조·콩 + 구릉지의 율무·조릿대, 마(麻)·삼(三) 재배 |
| **임산·특용** | 소나무·참나무 벌채, 약재(더덕·황기)·밤·대추 채취 |
| **시장** | 18세기 중엽 5일장(지례장) 개설로 김산(김천)·거창·무주 상인 왕래 |
## 4. 교육·문화 기반
* **지례향교**: 대성전·명륜당·동·서무로 구성된 중형 향교. 향음주례와 *춘추향사*가 이어져 인근 구미·거창까지 유림 교류 거점 역할.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4], [heritage.go.kr][5])
* **서원·정자**: 17–18세기에 파평 윤씨·연안 이씨 문중 서당·정자가 산재—지례가 \*“김천 유림의 서쪽 문”\*이라 불린 배경.
* **향약·풍물**: 조선 후기로 갈수록 *두레농악(빗내농악)*·풍물패 전승이 활발, 오늘날 국가무형문화재 ‘빗내농악’의 뿌리가 된다.
## 5. 역사적 사건 속 지례
* **임진왜란(1592)** 때 *김면·황응남* 의병이 지례성 일대를 해방, 왜군 남하 보급선을 차단—오늘날 ‘지례 의병 승전지’ 비석 다수.
* **병자호란·호남수문장 교대로(1750s)**: 내륙 경로가 강화되면서 *작내역* 이용 빈도가 급증, 역보·노선 정비가 이루어졌다.
## 6. 사람들
| 분야 | 인물 | 업적 |
| 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의병** | **김면(金沔, 1541–1593)** | 지례·금산 의병 이끌고 우두령·지례 전투 승리 |
| | **황응남(黃應男, 1556–1610)** | 상주목사 겸 의병장, 지례 포위·야습 주도 |
| **효·열** | *윤은보* | 파평 윤씨 효자, ‘절효(節孝)’로 조정 포상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7]) |
---
## 7. 오늘의 흔적과 가치
* **지례향교 대성전**, **지례읍성 터**, **귀산성** 등 조선시대 유적이 김천 지역사 연구의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.
* 소박한 읍치였지만 *교통·군사·교육*이 복합된 **“작지만 입체적인 내륙 거점”** 이라는 점에서, 조선 지방 행정·생활사를 읽는 살아있는 교과서로 평가된다.
> **한 줄 정리**
> 조선의 지례현은 *산간 교통 요충·향교 중심 학문지·의병 승전의 무대*라는 세 얼굴을 가진 **소현(小縣) 모델 케이스**였다.
[1]: https://dh.aks.ac.kr/sillokwiki/index.php/%EC%A7%80%EB%A1%80%ED%98%84%28%E7%9F%A5%E7%A6%AE%E7%B8%A3%29?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현(知禮縣) - sillokwiki"
[2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toc/GC03200450 "지례현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
[3]: 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54141 "지례(知禮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"
[4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toc/GC03200616?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향교대성전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
[5]: https://www.heritage.go.kr/heri/cul/culSelectDetail.do?VdkVgwKey=31%2C01180000%2C37&pageNo=1_1_1_0&utm_source=chatgpt.com "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례향교대성전 (知禮鄕校大成殿)"
[6]: https://db.history.go.kr/item/compareViewer.do?levelId=sg_034_0020_0280&utm_source=chatgpt.com "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 > 개령군"
[7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index?category=%EC%A7%80%EB%AA%85%2F%EA%B8%B0%EA%B4%80%EB%AA%85&depth=2&name=%EC%9E%90&page=30&search=%EC%A7%80%EB%A1%80%ED%98%84&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현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
| 항목 | 핵심 정보 |
| 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위치·등급** | 지금의 경북 김천시 지례면 일대. 조선에서 *종6품 현감*이 다스리는 **소(小)현** ([dh.aks.ac.kr][1]) |
| **행정 변천** | ① 신라 지품천현 → 757 년 ‘지례현’으로 개칭<br>② 고려 현종 9 년(1018) 경산부 속현<br>③ 공양왕 2 년(1390) 감무 설치<br>④ 태종 13 년(1413) 현감 승격 → 1895 년 ‘지례군’, 1914 년 김천군에 편입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2], [encykorea.aks.ac.kr][3]) |
| **인구·병역(세종실록 지리지, 15 세기)** | 230호 · 1,200명 / 시위군 30, 진군 20, 선군 80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2]) |
| **교통·군사 거점** | 구산봉수(龜山烽燧)·작내역(作乃驛) 설치—성주·금산·무주·상주를 잇는 T자형 내륙로 요충 ([encykorea.aks.ac.kr][3]) |
| **교육·문화** | *지례향교* 창건 1426 년 → 임진왜란 소실 후 1690 년 중창, 현 경북 문화재자료 제118호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4], [heritage.go.kr][5]) |
| **별호·읍성** | ‘구성(龜城)’이라 불리며, 읍치 주변에 귀산성(龜山城)·지례읍성 흔적 남음 ([db.history.go.kr][6]) |
---
## 1. 행정·조직
* **현감**(종6품) 1인과 서리·군관·좌수 · 별감 등 하부 조달 조직이 편성되어 있었다.
18세기 『여지도서』에는 *군관 30·인리 23·사령 16* 등 상세 인원까지 기록된다. ([dh.aks.ac.kr][1])
* 경제 규모가 작아 *감무(監務) → 현감* 단계로만 승격했으며, 그 이상 **군(郡)** 으로는 조선 시기 내내 오르지 못했다.
## 2. 지리·교통
* 소백산맥 동사면의 산간 분지로, **감천** 유역 비옥한 충적지와 삼남로·무주길·상주길이 교차하여 군사 · 상업상이 모두 중요했다.
* “서울에서 **624리**”라 명시된 기록처럼, 조운로(漕運路) 대신 *내륙 우마차 교통*과 *봉수·역원 체계*가 활발했다.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2])
## 3. 경제·생업
| 분야 | 주요 품목·특징 |
| 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농업** | 감천 평야의 벼·조·콩 + 구릉지의 율무·조릿대, 마(麻)·삼(三) 재배 |
| **임산·특용** | 소나무·참나무 벌채, 약재(더덕·황기)·밤·대추 채취 |
| **시장** | 18세기 중엽 5일장(지례장) 개설로 김산(김천)·거창·무주 상인 왕래 |
## 4. 교육·문화 기반
* **지례향교**: 대성전·명륜당·동·서무로 구성된 중형 향교. 향음주례와 *춘추향사*가 이어져 인근 구미·거창까지 유림 교류 거점 역할.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4], [heritage.go.kr][5])
* **서원·정자**: 17–18세기에 파평 윤씨·연안 이씨 문중 서당·정자가 산재—지례가 \*“김천 유림의 서쪽 문”\*이라 불린 배경.
* **향약·풍물**: 조선 후기로 갈수록 *두레농악(빗내농악)*·풍물패 전승이 활발, 오늘날 국가무형문화재 ‘빗내농악’의 뿌리가 된다.
## 5. 역사적 사건 속 지례
* **임진왜란(1592)** 때 *김면·황응남* 의병이 지례성 일대를 해방, 왜군 남하 보급선을 차단—오늘날 ‘지례 의병 승전지’ 비석 다수.
* **병자호란·호남수문장 교대로(1750s)**: 내륙 경로가 강화되면서 *작내역* 이용 빈도가 급증, 역보·노선 정비가 이루어졌다.
## 6. 사람들
| 분야 | 인물 | 업적 |
| 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의병** | **김면(金沔, 1541–1593)** | 지례·금산 의병 이끌고 우두령·지례 전투 승리 |
| | **황응남(黃應男, 1556–1610)** | 상주목사 겸 의병장, 지례 포위·야습 주도 |
| **효·열** | *윤은보* | 파평 윤씨 효자, ‘절효(節孝)’로 조정 포상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7]) |
---
## 7. 오늘의 흔적과 가치
* **지례향교 대성전**, **지례읍성 터**, **귀산성** 등 조선시대 유적이 김천 지역사 연구의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.
* 소박한 읍치였지만 *교통·군사·교육*이 복합된 **“작지만 입체적인 내륙 거점”** 이라는 점에서, 조선 지방 행정·생활사를 읽는 살아있는 교과서로 평가된다.
> **한 줄 정리**
> 조선의 지례현은 *산간 교통 요충·향교 중심 학문지·의병 승전의 무대*라는 세 얼굴을 가진 **소현(小縣) 모델 케이스**였다.
[1]: https://dh.aks.ac.kr/sillokwiki/index.php/%EC%A7%80%EB%A1%80%ED%98%84%28%E7%9F%A5%E7%A6%AE%E7%B8%A3%29?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현(知禮縣) - sillokwiki"
[2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toc/GC03200450 "지례현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
[3]: 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54141 "지례(知禮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"
[4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toc/GC03200616?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향교대성전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
[5]: https://www.heritage.go.kr/heri/cul/culSelectDetail.do?VdkVgwKey=31%2C01180000%2C37&pageNo=1_1_1_0&utm_source=chatgpt.com "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례향교대성전 (知禮鄕校大成殿)"
[6]: https://db.history.go.kr/item/compareViewer.do?levelId=sg_034_0020_0280&utm_source=chatgpt.com "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 > 개령군"
[7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index?category=%EC%A7%80%EB%AA%85%2F%EA%B8%B0%EA%B4%80%EB%AA%85&depth=2&name=%EC%9E%90&page=30&search=%EC%A7%80%EB%A1%80%ED%98%84&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현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