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진왜란 지례전투 > History

Go to Body

All Search in Site

PreviousHistory

임진왜란 지례전투

Page Info

Writer AndyKim Hit 21 Hits Date 25-07-07 20:45
Comment 0Comments

Content

### 지례(知禮) — 왜군 보급선을 끊은 ‘의병 승전지’

| 구분        | 내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| 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**위치·의의** |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일대. 대구·상주·전주를 잇는 육상로와 낙동강 물길 사이 ‘T자형 요충’으로, why군 주력의 **후방 보급로**였음 |
| **주요 전투** | **지례 전투**(1592. 7. 17\~29로 추정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| **핵심 인물** | 김면·황응남·서예원·여대로(조선 의병) / 고바야카와 부대 잔존 왜군 1,500명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---

## 1. 전투 배경

* 1592년 한양 함락 후 일본 제6군(고바야카와 다카카게)은 전라도 공략을 노렸으나, 곽재우·권율에게 연속 패배해 **전주 진출 실패**.
* 퇴로를 찾던 왜군이 **지례 ·김산(김천) ·선산** 일대에 흩어져 주둔하며 약탈 ·방화를 자행.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1], [historicalhistory.tistory.com][2])

## 2. 지례 전투 경과

| 날짜          | 전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결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| 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1592. 7. 17 | 의병장 **김면** 연합군, 우두령에서 왜군 선발부대 격파 후 지례로 추격    | 왜군 퇴각, 지례성 부근 집결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| 7. 29      | 김면·황응남·서예원·여대로 등 의병·관군이 **포위망 구축** → 야간 전격 공격 | 왜군 1,500명 중 다수 전사·포로, 잔여 병력 서쪽으로 도주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1], [historicalhistory.tistory.com][2]) |
| 7. 30\~8월  | 의병이 지례·김산·개령 일대 해방, 노획 물자로 주민 구호              | 전라도 침공 축선 완전 붕괴, 왜군 후방 압박 가중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### 전술 포인트

1. **산악 포위**: 지례는 분지 지형—의병이 고지를 선점해 퇴로·보급 차단.
2. **지형정보 활용**: 지례현감 **여대로**가 성문·물자·지세를 제공, 주력 파상 공격 유도.
3. **다중 지휘**: 김면(충청 의병)‧황응남(상주 관군) 등 **지역 연합전선**이 구축됨.

## 3. 전투 이후 지례의 역할

* 1593. 2. 12 왜군이 김천권 전면 철수 → **지례현감 여대로**와 개령현감 최기준이 김면 진영(하로) 방문, 수습책 논의. ([gimcheon.grandculture.net][3])
* 의병장 **김면**은 이후 하로(김천) 군진에서 병사, 지역민이 충절을 기림.
* **지례향교**·성황사 등 주요 건물이 전소됐으나, 주민이 성영·위패를 지켜내어 전란 뒤 복원. ([encykorea.aks.ac.kr][4])

## 4. 피해와 복구

| 항목  | 피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복구·현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| 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인명  | 개령·지례 일대 300여 명 피살, 400명 생환 기록 | 지례순의비·충렬사 등 추모비 다수 건립        |
| 문화재 | 지례향교 대성전·명륜당 전소                | 1608년(광해1)부터 단계적 중건, 현 국가문화재 |
| 경제  | 곡물·가옥 약탈·방화로 농경지 폐허            | 1600년대 군·현 합동 ‘영농 복구령’ 실시    |

## 5. 역사적 의의

1. **후방 교란 성공** – 한양 – 부산 주보급로를 끊어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결정적으로 좌절.
2. **의병 연합 모델** – 관군·의병·향리·현감이 한 전선에서 협동한 **초기 모범 사례**.
3. **지역 항일 정체성** – 지례 ·김천 일대는 이후 병자호란·항일의병에도 \*\*‘의병의 고장’\*\*이라는 전통을 이어감.

---

### 한 줄 정리

**지례 전투**는 “왜군 남하의 축선을 분쇄하고, 의병 연합전의 가능성을 증명한 산골 승전”이었으며, 지례 사람들의 **민관 합력·문화재 수호**는 임진왜란의 참상을 딛고 지역 공동체를 재건한 모범으로 평가됩니다.

[1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toc/GC03200483?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 전투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
[2]: https://historicalhistory.tistory.com/80?utm_source=chatgpt.com "[임진왜란38] 너희들은 포위됐다! 지례 전투 - 역사채우기"
[3]: https://gimcheon.grandculture.net/gimcheon/toc/GC03200475?utm_source=chatgpt.com "임진왜란 - 디지털김천문화대전"
[4]: 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54148?utm_source=chatgpt.com "지례향교(知禮鄕校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"

List of comments

No comments

Copyright © SaSaSak.net. All rights reserved.
Select Site Language
View PC